a태그 (인라인태그)
<!-- 기본형 -->
<a href="링크주소" [속성="속성 값"]> 텍스트 </a>
<a href="링크주소" [속성="속성 값"]><img src="이미지 파일 경로"> </a>
a 링크 태그 속성
이름 |
내용 |
예시 |
href |
링크한 문서나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함 |
|
target |
링크한 내용이 표시될 위치(현재 창 또는 새 창)를 지정 |
|
download |
링크한 내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다운로드 함 |
<a href="cat.png" download>다운로드</a> |
rel |
현재 문서와 링크한 문서의 관계를 알려줌 |
|
hreflang |
링크한 문서의 언어를 지정 |
|
type |
링크한 문서의 파일 유형을 알려줌 |
|
form태그 (블록태그)
<!--기본형-->
<form [속성="속성 값"]> 여러 폼 요소 </form>
form 태그 속성
속성 |
내용 |
속성 값 |
설명 |
metod |
사용자가 입력한 내용들을 서버 쪽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넘겨줄지 지정. 속성 미입력시 get이 기본 설정. |
get |
주소 표시줄에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 그대로 드러남. URL의 ? 뒤에 있는 부분이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. ?변수명1=값&변수명2=값. 256byte~4096byte까지의 데이터만 서버로 넘길 수 있음 |
metod |
"상동" |
post |
사용자의 입력을 표준입력으로 넘겨주기 때문에 입력 내용의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고,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 드러나지 않음. (대부분 이 방식을 사용). header에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방식. 로그인시 id, pw 등. |
name |
폼의 이름을 지정. 한 문서 안에 여러개의 <form> 태그가 있을 경우, 폼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. |
|
|
action |
<form> 태그 안의 내용들을 처리해 줄 서버 상의 프로그램을 지정. (입력 완료 후 어디로 넘어갈건지 지정) |
|
|
target |
<action> 태그에서 지정한 스크립트 파일을 현재 창이 아닌 다른 위치에 열도록 지정. |
|
|
autocomplete |
입력 내용 자동 완성 기능. |
on / off |
기본값은 on. 자동 완성 기능을 끄려면 off로 지정. |
label 태그 (인라인태그)
<!--기본형-->
<label [속성="속성 값"]> 레이블명 <input ...> </label>
또는
<label for="id명"> 레이블명 </label>
<input id="id명" [속성 = "속성 값"]>
<!-- <label> 태그를 사용한 텍스트 부분과, 사용자 입력을 받는 <input> 소스가 떨어져 있더라도
id명을 통해 둘 사이를 쉽게 연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.
<label>에서 for와 id는 항상 함께, 같은 이름으로 사용해야 한다.-->
- 폼 요소에 레이블을 붙임. (레이블 : 입력 창 옆에 '아이디', '비밀번호' 처럼 붙여 놓은 텍스트)
- <label> 태그를 이용하면 폼 요소와 레이블 텍스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브라우저가 알 수 있음.
- 체크박스와 라디오 박스에 <label>을 감싸주면, 텍스트 영역까지 클릭 범위가 확장 된다.
대부분의 폼에서 이 방식을 이용함.